프롤로그
필자는 공인중개와 관련된 직군에 종사하고 있거나 관련 전공자가 아닙니다. 필자도 2021년 공인중개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시험문제에 대해서 해설하는 내용은 직접 문제를 풀어보고 각 문항에 대한 개념을 각종 서적과 자료를 통해 직접 정리하고자 하는 취지입니다.
아무래도 부동산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아주 기초적이고 일반적인 부분에 대한 용어 정도는 이해하고 있지만 방대한 공인중개사 학습 범주에 비하면 무지함에 대한 조건은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과거 기출문제를 수차례에 걸쳐서 풀어보고 과연 특정일의 개인적인 기분과 컨디션이 답안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분석하고 복습을 통한 누적학습을 바탕으로 확실한 개념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시험장에서 신체적, 감정적 기복에 대한 영향을 제로 퍼센트화 하는데 있습니다.
아울러 약 20년간의 문제은행을 100% 벗어나서 문제를 기출한다는 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에 개념 서적을 먼저 읽고 문제를 풀이하기 보다는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개념 서적을 자연스레 찾는 방식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1년 10월 30일 토요일 시험을 마무리 하는 그날까지 시간 여유가 되는 한 꾸준히 문제 풀이 과정을 올리고 솔직한 시험후기 결과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법률에 대한 해석이 어렵고 모호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있겠지만 일반적인 삶을 영위해나가는 소시민은 너무 어려운 이해보다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어쩌면 명확한 잣대 위에서 개념이 다소 틀릴 수는 있지만 대충 봐도 이해할 수 있는 참고자료 정도로 활용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회차 기출문제 자가 풀이 결과 : 5(O) |
유사 기출문제
- 2007년 제18회 A형 부동산학개론 3번
기출문제 분석
(2007년 제18회 A형 부동산학개론 3번)
3. 부동산시장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자료는 그 성격에 따라 일정 기간에 거쳐 양(量)을 측정하는 유량(flow) 자료와 일정 시점에서 양(量)을 측정하는 저량(stock) 자료로 구별할 수 있다. 다음 중 저량(stock) 자료에 해당하는 것은?
① 순영업소득 (NOI:net operating income)
② 연간 이자 비용
③ 월 임대료 수입
④ 부동산관리자 월 급여
⑤ 부동산투자회사의 순 자산가치
기출문제 해설 및 심화학습
문제를 해결할 때는 문제의 앞 용어에 "한달간의" 를 붙여서 해석이 매끄러우면 유량, 매끄럽지 않으면 저량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유량(Flow) :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변수를 말하며, 영어 단어의 의미는 계속적인 공급이나 공급 생산품의 흐름으로 해석이 됩니다. 유량의 예시로는 임대료 수입, 지대 수입, 월 급여, 이자비용, 연봉, 순영업소득, 당기순이익, 신규주택 공급량, 주택 거래량, 아파트 생산량, 국민총생산, 가계 소득, 수출, 수입, 소비, 투자 등이 있습니다.
저량(Stock) :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변수를 말하며, 영어 단어의 의미는 재고품, 비축품, 저장품 등으로 해석이 됩니다. 저량의 예시로는 주택 재고량, 순 자산가치, 인구수, 외환보유액, 통화량, 노동량, 자본량 등이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시험 기출문제 해설 : (부동산학개론) 관리신탁, 담보신탁, 금전신탁, 대리업무 (0) | 2021.05.17 |
---|---|
공인중개사 시험 기출문제 해설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마케팅 믹스 4P 전략 (0) | 2021.05.17 |
공인중개사 시험 기출문제 해설 : (부동산학개론) 공간적인 부동산 개념 (0) | 2021.05.16 |
공인중개사 시험 기출문제 해설 : (부동산학개론) 토지 용어 유형 (0) | 2021.05.16 |
공인중개사 시험 기출문제 해설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관리 유형 (0) | 2021.05.16 |
댓글